전시안내
1._Whispering_light_24072_116.8X80.3__Acrylic_on_Canvas_2024
2._Whispering_light_25002_116.8X80.3_Acrylic_on_Canvas_2025
3._Whispering_light_25003_116.8X80.3_Acrylic_on_Canvas_2025
4._Whispering_Light_24001_105X105_Acrylic_on_Canvas_2024
5._Whispering_Light_24043_105X105_Acrylic_on_Canvas_2024
6._Whispering_light_23077_100X_100__Acrylic_on_canvas_2023
7. Whispering light 25065 162.2X 112.1 Acrylic on Canvas 2025
8._Whispering_light_17011__80X117__Acrylic_on_Canvas_2017
UPCOMING : 속삭이는 빛 Whispering light

 

 

 

 

Hakgoaje Art Center 1F  
2025.9.23 - 9.30





광휘(光輝)의 빛

 




윤 진 섭(미술평론가)



 화가는 색, 선, 점, 면, 빛 등 기본적인 조형 요소를 통해 작업을 펼쳐나가는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이는 물론 단어의 정의를 두고 하는 말이지만, 요즘의 화가는 딱히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다. 화가들이 조각의 영역을 넘보는가 하면, 오브제, 설치, 심지어는 영상까지도 손을 대기 때문이다. 
 이는 예술이 점차 광역화되면서 개념상에 일대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아마도 복잡다단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의식에 넘실거리는 심상을 담아내기에 회화만으로는 부족하기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닌가 싶다. 
 정희경은 미술계의 이런 추세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회화, 그것도 추상화에만 몰두하고 있는 작가이다. 그런 까닭에 그의 작품에서는 색을 비롯하여 기본적인 조형 요소만으로 작품을 제작하려는 강한 의지가 읽힌다. 일체의 구상성을 배제하고 색을 비롯하여 색, 점, 면, 빛 등등 순수한 요형 요소를 사용하여 작품의 제작에 임한다. 
 그의 작품에서 선의 요소는 작은 점들이 모여 나타난 시각적 허상에 불과하다. 스펀지에 묻힌 아크릴 물감을 캔버스에 수없이 두드려 이루어지는 색띠들은 실상 실체가 없는 허상이기 때문이다. 이는 작가가 붓에 물감을 묻혀 캔버스에 직접 선을 긋지 않고 그것이 관객에게 어떻게 선으로 인식되는가 하는 형식적 실험과 관계되기 때문에, 이것은 그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지금으로부터 4년 전에 나는 정희경의 <속삭이는 빛> 연작이 지닌 광휘(光輝)에 대해 주목했고, 그 미적 효과를 다음과 같이 쓴 바 있다. 다소 길지만 그 의미를 상기하는 뜻에서 이 자리에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정희경의 <속삭이는 빛> 연작은 오로라를 연상시키는 것에서부터 온갖 색채의 화려한 화초들로 가득 찬 초원을 연상시키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의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정희경은 작업노트에서 “많은 빛들이 희망과 사랑, 그리고 아름다움의 메시지를 전달해주길 염원한다.”고 적고 있다. 실제 그의 작품에는 이 희망과 사랑의 메시지가 가득 차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의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자들은 부정적이기보다는 긍정적이며 낙관적인 감흥을 느낄 수 있다. 무지개처럼 화려한 색채를 통해 관람자의 감각을 일깨움으로써 치유(healing)의 효과를 유발한다. 화면의 좌우나 중심, 때로는 대담하게 화면을 가르는 갈매기(⌵) 형태의 검정색 띠들이 배치된 구도는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화면을 긴장시킨다. 그리고 넓은 검정색 띠는 무거운 침묵을 통해 관람자의 시선을 빨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무수히 반복된 점묘로 인해 빛으로 출렁이는 넓은 색채의 영역과 검정색 띠 사이의 긴장관계가 단순과 복잡이란 상호 대립적인 미적 원리의 소산임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근작을 통해 정희경은 한결 정리된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다양한 색의 스펙트럼이 초록색으로 환원되는 결과를 낳고 있기 때문이다. ‘무지개처럼 화려한 색채’들은 반원 형태의 ‘오로라’나 녹색의 띠로 단순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색은 어둠에서 밝음으로 점진적으로 나아가는 과정(계조)을 통해 마침내 빛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작가는 이 빛이 관객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로 읽히길 원한다. 그는 작업노트에서 “새 빛의 소망으로 날마다 새 힘을 얻기 원한다.”, “새 빛의 소망으로 우리의 영혼이 맑고 깨끗해지기를 원한다.”, “새 빛의 소망으로 내면 깊숙이 속삭이는 빛의 소리를 듣길 원한다.” 등등의 어록을 남기고 있다. 
 빛을 통한 이 소망의 메시지, 희망의 메시지는 작가 정희경이 자신의 작품을 감상하는 관객들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바람인 것이다. 그리고 그 메시지는 빛이 암시하는 것처럼, 거룩과 묵상의 이미지를 통해 관객들에게 전달된다. 여기서 예술 그 자체가 종교는 아니지만, 종교적 도상(icon)을 통해 교리의 전파에 봉사하는 기능을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 의미에서 정희경의 추상화가 종교적 의미를 지니고 있지는 않지만, 빛이 지닌 거룩이나 묵상의 이미지를 통해 치유의 효과를 낳고 있음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점에 대해 앞에 인용한 글에서 나는 다음과 같이 쓴 적이 있다. 

 “실제 그의 작품에는 이 희망과 사랑의 메시지가 가득 차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의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자들은 부정적이기보다는 긍정적이며, 낙관적인 감흥을 느낄 수 있다. 무지개처럼 화려한 색채를 통해 관람자의 감각을 일깨움으로써 치유(healing)의 효과를 유발한다.”

 초록색에 대한 집중과 함께 정희경이 이번 전시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일련의 오로라 연작이다. 이른바 빛의 스펙트럼에 대한 묘사를 통해 우주적 광휘를 드러내고자 한 이 연작들은 관객으로 하여금 빛을 통한 심리적 감흥을 느끼게 해 준다. 그것이 종교적 법열에 가까운 것이든, 단순히 자연 현상에 대한 회화적 유비를 통해 빛의 물리적 효과를 감상하게 만드는 것이든 간에, 순수한 미적 형식을 통해 빛과 관련된 작가 나름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나름대로의 성공을 거둔 것처럼 보인다. 원형과 사각이라고 하는 각기 다른 형태의 캔버스를 통해 색과 빛의 상관관계를 집중적으로 실험하면서 특유의 예술적 성과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 정희경은 색과 점, 면, 빛 등 기본적인 조형 요소만으로 독특한 실험을 일궈가는 가운데 독자적인 조형의 세계를 개척해 가고 있는 중이다.    




작가 노트

  

 


정희경

 

빛은 우리에게 꼭 필요한 존재임이 틀림없다.  나의 빛은 단지 내면의 빛일 뿐이다. 빛의 아름다움과 환희를 표현하기 위해 수많은 색으로 중첩하여 채색하였고 그 빛이 품은 따뜻함과 자애로움을 가득 담으려고 하였다. 어둠 속에 사는 현대인의 갈급한 영혼과 눈물, 울분, 슬픔을 위해 구원자로 다가오는 빛이야말로 내가 꼭 추구하는 빛이며 삶의 지혜로 깨달음과 소망, 응답의 빛을 표현하려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지는 빛과 특별히 개개인의 희망 빛으로 묵상하며 다가오는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작업해 보았다. 사용된 재료는 아크릴물감과 해면 스펀지로 많은 색을 중첩하여 풍부한 공간감을 더하였고 빛이 오는 속도와 빠르기 그리고 공간 속에 깊어감으로써 내면의 영혼이 묵상 되어 마침내 빛을 볼 수 있기를 바라보며 소망과 희망의 소리를 알게 되기를 염원해보았습니다. 또한 형태를 단순화하여 빛의 속도감을 담아 빠르게 우리에게 다가오는 듯한 표현과 어느 공간에서도 초월하여 올 수 있고 들릴 수 있고 깨달을 수 있는 빛을 표현한 것이다




정희경(Chung Heekyung)


 

수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대학원 졸업
수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홈페이지 : www.whisperingchung.com 
작업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156번길 12, 타임브릿지 202호
e-mail : hkjung2014@naver.com

파주아트벙커 회원, 서울미협 회원, 여수민미협, 이영회 회원 
 

개인전
2025.   속삭이는 빛 초대전 (핑크걀러리, 삼청동)
2024.   속삭이는 빛 초대전 (안젤리미술관, 경기도)
2023.   속삭이는 빛 초대전 (아트불갤러리, 서울)
2023.   속삭이는 빛 초대전 JH갤러리(인사동, 서울)
2023.   속삭이는 빛 초대전 (핑크갤러리, 삼청동)
2023.   속삭이는 빛 초대전 (아트스페이스호서, 서울)
2022.   속삭이는빛 2022 (고운미술관. 경기도)
2022.   Whispering Light (아트스페이스호서, 서울)
2022.   속삭이는 빛 (갤러리오르, 경기도)
2021.   속삭이는 빛 (모나므르복합문화공간, 충남 아산)
2021.   속삭이는 빛 (갤러리 808, 성남아트센타)
2021.   Whispering Light (갤러리 담다, 용인)
2021.   속삭이는 빛 (근현대사 담다미술관, 용인)
2021.   속삭이는 빛 (엑스포아트갤러리, 여수)
2019.   Whispering Light (갤러리도스, 삼청동)
2019.   Whispering Light (구올담 갤러리, 인천)
2018.   Whispering Light (아트스페이스호서, 서울)
2017.   Whispering Light (화인갤러리, 여수)
2017.   속삭이는 빛 (가나인사아트센터, 인사동)
2017.   속삭이는 빛 – 촛불 (써포먼트갤러리, 서울)
2016.   Whispering Light (다소갤러리,김포)
2016.   Whispering Light (서호미술관, 남양주)
2015.   Whispering Light (레이갤러리, 뉴욕부르클린)
2015.   속삭이는 빛 2 (한옥갤러리, 서울)
2015.   속삭이는 빛 1 (갤러리 아카스패이스, 서울)
2014.   Under the Wing (행궁길갤러리, 수원문화재단)